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 모성보호시간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사용 기준)

by goldrosy 2025. 3. 28.

아기 관련 사진

공무원의 모성보호시간은 임신한 여성 공무원과 수유 중인 여성 공무원이 근무 중 일정 시간을 보장받아 건강을 보호하고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임신 초기부터 출산 후 일정 기간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공무원 모성보호시간이란?

공무원 모성보호시간은 임신한 여성 공무원과 출산 후 일정 기간 동안 모유 수유를 해야 하는 여성 공무원에게 제공되는 근무시간 단축 혜택입니다. 이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및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서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습니다.

법적 근거

  •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15조(모성보호시간)
  •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제14조(모성보호시간)
  • 「근로기준법」 제74조(임산부의 보호)

2. 공무원 모성보호시간 지원 대상 및 사용 기준

모성보호시간은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1년 이내의 여성 공무원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상 사용 가능 시간 비고
임신 12주 이내 (임신 초기) 1일 2시간 오전·오후 중 선택 가능
임신 36주 이후 (출산 임박) 1일 2시간 오전·오후 중 선택 가능
임신 12~36주 사이 1일 1시간  
출산 후 1년 이내 (모유 수유) 1일 1시간 근무시간 중 자유롭게 사용 가능

※ 모성보호시간은 근무시간으로 인정되므로 급여 차감 없이 활용 가능

3. 공무원 모성보호시간 신청 방법

신청 시기

임신이 확인된 즉시 신청 가능하며, 출산 후 1년 이내에는 수유를 위한 모성보호시간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 소속 기관의 인사부서에 신청서 제출 (임신 확인서 또는 출생증명서 첨부)
  • 인사부서 승인 후 시행 (기관 내부 절차에 따라 승인 후 즉시 적용)

신청서 예시

[모성보호시간 신청서]  
소속: ○○부서  
성명: 홍길동  
직급: 주무관  
신청 기간: 2025년 1월 1일 ~ 2025년 6월 30일  
사용 시간: 오전 10시~11시 (또는 오후 3시~4시)  
사유: 임신 20주차로 모성보호시간 사용 신청  
첨부 서류: 임신 확인서 1부  

4. 공무원 모성보호시간 활용 시 유의사항

  • 출퇴근 시간 조정 가능 여부는 기관별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점심시간 및 기존 휴게시간과는 별개로 운영됨
  • 모성보호시간 사용으로 인해 업무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

5. 공무원 모성보호시간의 기대 효과

  • 임신부 건강 보호 및 업무 효율성 향상 - 업무 스트레스 완화 및 집중력 향상
  • 출산 후 모유 수유 활성화 - 아기의 건강 증진 및 면역력 강화
  • 공직 사회의 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 - 여성 공무원의 경력 단절 방지

6. 결론

공무원의 모성보호시간 제도는 임신한 여성 공무원과 모유 수유 중인 여성 공무원의 건강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공공기관이 더욱 적극적으로 출산·육아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가길 기대합니다.